안녕하세요!
현재 4차산업혁명시대에 빠르게 여러 기술들이 발전해가고 있습니다.
전기에 대해 공부하면서 여러가시 기기들을 접하게 됩니다.
여러가지 기술들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전기쪽에서 큰 틀인 스마트 그리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그리드
현재 전기를 공부하다 보면 매우 중요한 부분들 이 많고 이를 검색을 통해 찾아보곤 합니다.
오늘은 그 전체의 큰 틀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오늘의 궁금증은 스마트그리드입니다!
과연 이 스마트그리드란 무엇인가?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그리드란 똑똑한 이라는 뜻의 스마트(Smart)와 전력망을 말하는 그리드(Grid)의 합성어로 ‘지능형 전력망’을 말합니다.
기존의 전력망은 ‘단방향’으로 공급자 위주였습니다.
즉, 전기를 사용하는 우리는 전기에 대한 정보를 알기 힘들었습니다.
전기를 보내주는 공급자는 알 수 있지만 받아서 쓰는 우리는 그냥 전기를 쓸 뿐이었습니다.
이에 스마트그리드는 이런 단방향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로 인해 공급자는 수요자의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전력난을 해결할 수 있고, 수요자는 기존보다 더욱 효율적인 전기사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현재 전력시스템은 15% 정도의 전기를 더 많이 생산되게 설계되어있습니다.
바로 전력 최대 소비량을 초과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죠.
예비전력이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만약 필요한 만큼만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면?
전력서비스산업, 정보통신산업, 전력저장장치, 마이크로 그리드, 전기자동차산업 등등 아주 다양한 곳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를 더 활성화 시켜 에너지 해외 의존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며 여러 가지가 좋아질 것입니다.
스마트그리드는 ESS(에너지저장시스템), AMI(지능형 원격 검침 인프라), EMS(에너지관리시스템), 분산전원 등등 여러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이 모여 이것들을 가능하게 합니다.
즉, 스마트그리드는 무엇 하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저런 구성 하나하나가 모여 큰 전력망을 만들어 내는 그 자체를 말하는 것입니다.
국제 에너지 기구(IEA)는 2030년까지 이 스마트그리드에 관련된 시장에서 최소 2조 9,880억 달러가 창출될 것이라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인 지금 이러한 기술의 발전들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스며들어 있습니다.
앞으로 이 스마트그리드가 어느 곳에 활용돼 어떤 방식으로 쓰일지 너무 기대됩니다.
이 스마트 그리드의 구성들은 하나하나가 중요해서 다음에 포스팅을 따로 하겠습니다.
'궁금한 기초 전기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궁금증 Q7/ HVDC(초고압직류송전) 이란 무엇일까? (5) | 2020.01.10 |
---|---|
오늘의 궁금증 Q6/ ESS란 무엇인가? (0) | 2020.01.09 |
오늘의 궁금증 Q4/ 전기는 어떻게 우리 가정으로 들어오는것일까? (6) | 2020.01.07 |
오늘의 궁금증 Q3/ 매설지선을 설치하면 역섬락을 방지한다. 어떻게?! (0) | 2020.01.06 |
오늘의 궁금증 Q2/ 승압시 이점에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 V=IR P=VI (0) | 2020.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