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기초 전기지식80 오늘의 궁금증 Q8/ 부하(R)가 증가하면 전류증가(V=IR에 어긋나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주 기초적이지만 지나칠 수 있는 것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부하 제가 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배웠을 때 부하 =R(저항)이라 배웠습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하고있었습니다 ㅠㅠ) 혹시 부하가 증가하면 전류가 증가한다 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너무 당연시 여겨왔던것이라 지금까지는 솔직히 아무 생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문득 생각해보니 V=IR 이면 I와 R은 반비례인데 부하(저항)이 증가하면 I가 감소해야하는거아닌가..? 또 한 번 공식만 암기하고 넘어가면 이런 기초적인 것을 놓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답은 이 부하를 연결할 때 병렬연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하란 전기를 띠게 하거나 기계적인 장치의 동력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입니다. 직렬로 연결했을 때는 R상승이면 I가 감소.. 2020. 1. 11. 오늘의 궁금증 Q7/ HVDC(초고압직류송전) 이란 무엇일까?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르는 HVDC 도대체 이게 무엇일까? 혹시 "전류의 전쟁(War of Currents)"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결과적으로 이 논쟁은 교류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이에 대한 배경은 다음번에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교류에 밀렸던 직류가 이제 다시 떠오르고 있습니다. HVDC란 초고압직류송전방식을 말합니다. 전력그리드 시스템중 하나로 직류를 대량으로 송전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HVDC는 발전소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장거리 대용량 송전에 이용하고, 다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것입니다. 왜 직류를 사용하는가? 예전에는 여러 기술상의 이유로 교류를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직류송전의 장점은 장거리 대용량 송전에 유리합니다. 또한 무효전력이 적어 손실이 적습니다. .. 2020. 1. 10. 오늘의 궁금증 Q6/ ESS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 포스팅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스마트 그리드의 구성중 가장 중요한 ESS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E S S ESS란 (Energy Storage System)의 약자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말합니다. 발전소에서 더 많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두었다가, 만약 전력이 필요한 경우나 정전 등이 생기면 그때 전력을 공급해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입니다. 발전소 같은 경우 발전을 많이 해 전기가 남는다고 중단을 할 수 없습니다. 이로 인해 저녁에는 공장 등 전기가 많이 필요한 곳들에 전기가 남습니다. 이런 남는 전기들을 저장했다 전기가 필요하고 발전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ESS입니다. 현재 한국전력에서는 주파수조정용으로 사.. 2020. 1. 9. 오늘의 궁금증 Q5/ 스마트 그리드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현재 4차산업혁명시대에 빠르게 여러 기술들이 발전해가고 있습니다. 전기에 대해 공부하면서 여러가시 기기들을 접하게 됩니다. 여러가지 기술들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전기쪽에서 큰 틀인 스마트 그리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그리드 현재 전기를 공부하다 보면 매우 중요한 부분들 이 많고 이를 검색을 통해 찾아보곤 합니다. 오늘은 그 전체의 큰 틀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오늘의 궁금증은 스마트그리드입니다! 과연 이 스마트그리드란 무엇인가?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그리드란 똑똑한 이라는 뜻의 스마트(Smart)와 전력망을 말하는 그리드(Grid)의 합성어로 ‘지능형 전력망’을 말합니다. 기존의 전력망은 ‘단방향’으로 공급자 위주였습니다. 즉, 전기를 사용하는 우리는 전기에 대한 정보를 .. 2020. 1. 8. 이전 1 ··· 16 17 18 19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