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기초 전기지식80 오늘의 궁금증 Q32/ 정류기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류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류기 정류기(Rectifier)는 주기적으로 역전되는 교류(AC)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직류(DC)로 변환하는 전기 장치입니다. 이 과정은 전류의 방향을 직선 화하기 때문에 정류라고 합니다. 정류기는 작게 전자부품등에서 다이오드를 브리지 조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되며 크게는 전철 등에서 교류를 공급받아 정류기를 통하여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됩니다. 보통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단방향성을 갖게 하고, 캐패시터 평활회로를 거쳐 직류 출력을 얻게 됩니다. 정류 과정은 교류 입력 전압 -> 변압기 회로 -> 정류회로 -> 평활회로 -> 정전압 회로 -> 직류 출력 전압입니다. 정류회로 반파 정류 회로( Half -wave rectifier circuit).. 2020. 2. 19. 오늘의 궁금증 Q31/ 지중전선로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오늘은 지중 전선로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중 전선로 지중 전선로란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땅 밑으로 시설되어 있는 전선로를 지중 전선로라고 합니다. 서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전봇대를 사용하기보다는 지중화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국가의 경우에는 길 내는 것과 동시에 길 밑으로 지중화를 해버리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도심지의 22.9kV 전봇대 배전선로 지중화는 흔하지만, 154kV 이상의 전압을 가진 송전선로를 지중화하는 것은 비용 때문에 드뭅니다. 지중 전선로는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며, 관로식, 암거식,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합니다. 관로식, 암거식, 직접 매설식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왜 지중 .. 2020. 2. 17. 오늘의 궁금증 Q30/ 소호 리액터 접지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소호 리액터 접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호 리액터 접지 중성점 접지방식 중에는 비접지 방식, 직접 접지방식, 저항 접지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이 있습니다. 이중 소호 리액터 접지란 무엇일까요? 소호 리액터란 인덕턴스 회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호 리액터란 발명자의 이름을 따서 피터슨 코일이라고도 합니다. 소호 리액터 접지의 원리는 선로의 대지정전용량과 병렬 공진하는 리액터를 이용하여 중성점을 접지하는 것입니다. 즉, L과 C의 공진을 이용하는 접지방식으로 일반적으로 66KV선로에 사용합니다. 3 상중 1선이 단선이 되게 되면 3 상평형에서 불평형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소호 리액터와 단선되지 않은 대지 정전용량에 흐르게 됩니다. 이때 소호 리액터와 각 상의 대지 정.. 2020. 2. 15. 오늘의 궁금증 Q29/ 역률이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역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역 률 역률이란 전기를 사용할 때 실제 일을 하는 유효 전력에 비해 일은 하지도 않고 소모만 되는 무효전력이 얼마나 적게 차지하는가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입력되는 전력 중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의 비를 말합니다. 부하가 사용하는 유효전력과 부하에 공급되는 피상 전력에 대한 비율입니다. 코일 성분이 많은 기기일수록 역률이 낮고 저항성분의 기기는 역률이 좋습니다. 무효전력 Pa=VI [VA] 유효전력 P=VIcos∂ [W] 여기서 cos∂가 역률인 것입니다. 역률이 크다는 것은 유효전력이 피상 전력에 근접하는 것으로서 1. 부하 측(수용가 측)에서 보면 같은 용량의 전기 기를 최대한 유요 하게 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전원 측(공급자 측)에서 보면 .. 2020. 2. 1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