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기초 전기지식

오늘의 궁금증 Q15/ 전선 위의 참새는 왜 감전이 되지 않을까?

by 지식타비 2020. 1. 20.

안녕하세요!

오늘의 궁금증은 바로 참새에 관하 이야기입니다.

전선 위에 서있는 참새를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과연 참새는 왜 감전이 되지 않을까요?

 

감전이란 몸에 전류가 흘러 전기적인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감전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에 전위차가 생길 때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몸체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집니다.

 

전류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흐르기를 좋아합니다.

즉 더 쉬운 길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참새는 전깃줄에 앉아 회로를 형성하고 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져 전깃줄에 전류가 흐르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참새가 저항이 높아 전류가 참새 쪽이 아닌 전깃줄로 흐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참새는 전선 한 가닥에 두 발을 모두 얹어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건전지로 예를 들면 플러스나 마이너스 가운데 한쪽의 전극에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참새의 다리가 두 고압석에 동시에 접촉하면 감전이 됩니다.

 

 

 

참새가 두 다리로 전선 위에 올라 설 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 부분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연결이 되는 것입니다.

병렬은 같은 전압이 걸린다는 사실을 보았을 때 전위차 즉 전압의 차이는 0이 되고

저항이 작은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참새의 몸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전선이 절연된 전선인 이유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참새가 고압선에 앉아 있을 때 땅과 연결된 전봇대를 건드리게 된다면 전주를 통한 땅과의 전압차로 전기가 흘러 감전이 됩니다!!

 

사람도 땅에 닿지 않은 상태로 전선을 잡으면 감전이 되지 않겠지만 땅에 닿아있는 상태로 전깃줄을 잡으면 바로 감전이 되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