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한 기초 전기지식

오늘의 궁금증 Q13/ 접지란 무엇인가?

by 지식타비 2020. 1. 16.

안녕하세요!

오늘은 접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접 지

 

 

접지란 그라운드라고도 표현합니다.

대지에 전기적 단자를 시설하는 것을 말하며 접지 대상물을 저항이 0에 가까운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을 하여 접지 대상물과 대지의 전위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즉 대지는 저항이 0에 가까운데 

접지를 할 대상을 대지에 접속하여 보호하는것을 말합니다.

 

금속체와 대지를 접속하는 단자를 접지전극이라 하며

보통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도체가 사용됩니다.

또한 접지전극과 접지를 하는 설비를 연결하는 도선을 접지 도선 또는 접지선이라고 합니다.

 

접지를 왜 해야할까요?

 

접지를 하는 이유는 낙뢰나 잡음, 과도 전압전류의 유입 및 정전기로부터 통신설비나 기기를 보호하고 인명 및 가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면 비접지의 단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비접지는 접지를 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지락사고 검출이 어려워 지락사고에 대한 대책이 따로 필요합니다.

이 대책으로는 영상 변류기나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를 이용하여 지락사고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접지 기호

 

 

접지공사의 종류

 

접지공사의 종류는 총 4가지가 있습니다.

제1종 접지공사

제2종 접지공사

제3종 접지공사

제 특별 3종 접지공사

 

제1종 접지공사

고압 및 특고압 기계 기구의 외함, 변압기 안정 권선이나, 유효 권선

그리고 전압 조정기의 내장 권선 등에 합니다.

또한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 측과 피뢰기, 피뢰침, 정전 방전기 등에 합니다.

접시선의 굵기는 6㎟ 이상이며 접지저항값은 10Ω 이하입니다.

 

 

제2종 접지공사

고압 전로 또는 특별고압 전로와 저압 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 측의 중섬점 또는 1 단자에 합니다.

다심형 전선을 사용하는 경우 중성선 또는 접지 측 전선용에 절연물로 피복하지 않은 도체에도 사용이 됩니다.

접지선의 굵기는 특고압과 저압의 결합인 경우 16㎟ 이상이며 다중 접지된 특고압과 저압의 경우는 6㎟이상입니다.

접지 저항값은 (150V/(1선 지락 전류)Ω입니다.

 

 

제3종 접지공사

400V 미만인 기계 기구 외함 및 철대 또는 고압 계기용 변압기 2차 측, 조가 용선, 지중 전선로 가구 외함, 네온 변압기 등에 합니다.

접지선의 굵기는 2.5㎟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며 접지저항값은 100Ω 이하입니다. 

 

제 특별 3종 접지공사

400V 이상 기계 기구 외함 및 철대 또는 수중 풀장용 조명등 용기 및 방호장치 금속제에 합니다.

접지선의 굵기는 2.5㎟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며 접지저항값은 10Ω 이하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