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최초 전기
우리나라의 최초의 전기 점등은 1887년입니다.
1887년 3월 6일 저녁 경복궁 내의 건청궁에 처음으로 조명이 도입됐습니다.
백열전등을 발견한 지 고작 8년 만에 서울에 전등이 켜져 매우 획기적인 사건이었습니다.
그 후 1898년 한성전기회사가 설립됩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전력회사인 이 회사는 1898년 고종황제가 미국인 콜브란(Colnlan)의 조언 아래 이근배, 김두승, 두 사람의 이름으로 설립한 기업입니다.
이 한성전기회사가 지금의 한국전력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중아의 발전소에서 배전설비를 이용해 가정과 사무실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사업이 가능했습니다. 이후 전력생산이 크게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그 후 1899년 최초의 전차 개통이 됩니다.
동대문과 홍화문(서대문) 구간을 처음으로 시험 운행했습니다.
당시 서울의 교통수단이 인력거와 자전거 정도였지만 인천과 노량진 간 경인철도가 개통되는 등 엄청난 혁명적인 사건이었습니다.
하지만 5월 26일 운행 6일 만에 파고다공원 앞에서 한 어린이가 전차에 치여 생명을 잃게 됩니다.
이 일을 계기로 반감을 품고 있던 백성들의 폭동으로 8월 9일까지 운행중단이 됩니다.
최초의 민간 전기 점등
한성전기회사는 본격적인 전등 사업을 시작합니다.
그 후 1900년 처음으로 길거리에 조명용 전등이 등장합니다.
전차를 야간에 운행시키기 위해 민간 조명용 전등을 설치한 것입니다.
그 후 1901년 전등 보급이 확대가 됩니다.
그 후 1903년 용산구에 용산 발전소를 건설합니다.
이 발전소는 1938년 1월 폐쇄될 때까지 서울에서 가장 큰 발전소였습니다.
1930년대를 전후한 시기는 우리나라 전력사업 역사의 분수령이 됩니다.
대규모 수력발전소가 건설되기 시작하며 우리나라 전체 발전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합니다.
그러나 곧 38선으로 분단이 되고 발전시설의 88.5%가 북한에 치우쳐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제기반은 완전히 황폐화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해 1961년 한국전력 주식회사가 발족합니다. 전기회사의 통합이 된 것입니다.
그 후 1964년 농어촌 전화사업 등 여러 사업이 시작되며 우리 국토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전기를 자유롭게 사용 가능해집니다.
1978년 원자력의 시대가 열리고 이후 계속 성장하며 2005년 32년 만에 220V 승압사업이 완료됩니다.
'궁금한 기초 전기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궁금증 Q16/ 전기차의 원리가 무엇일까? (6) | 2020.01.21 |
---|---|
오늘의 궁금증 Q15/ 전선 위의 참새는 왜 감전이 되지 않을까? (10) | 2020.01.20 |
오늘의 궁금증 Q13/ 접지란 무엇인가? (1) | 2020.01.16 |
오늘의 궁금증 Q12/ 유도장해란 무엇인가? (5) | 2020.01.15 |
오늘의 궁금증 Q11/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란 무엇일까? (2) | 2020.01.14 |
댓글